코로나19 백신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잃어버린 우리의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가장 빠른 방법이 백신을 통한 면역력을 가지는 것이 기에 여러 나라에서 앞다투어 연구하고 개발하고 있다.
현재 여러나라에서 여러 가지 백신을 개발하고 있으며 예방접종을 완료한 후 형성된 면역으로 인해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때, 더 빠르게 우리 몸을 보호하게 된다.
코로나19 백신의 종류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은 3가지 종류가 있다.
1. mRAN백신 (핵산백신)
mRNA백신은 코로나바이러스 특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RNA의 형태로 만들어서 우리 몸에 투여하는 백신으로 인체에 투여된 mRNA에 의해서 만들어진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물질로 인식해서 면역반응을 일으켜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형성하게 된다.
2. 재조합백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단백질 항원 주로 스파이크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백신이며, 백신을 접종하면 이 단백질 항원을 이물질로 인식해서 면역반응을 일으켜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얻게 된다.
3. 바이러스 벡터 백신
바이러스벡터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와는 다른 인체에 무해한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이 단백질의 유전물질을 포함한 바이러스로 만들어지며 인체에 접종하면 인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이 단백질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게 된다. 우리의 몸은 이렇게 만들어진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물질(항원)로 인식해서 면역반응을 일으켜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얻게 된다.
우리나라 도입 백신
우리나라는 모든 국민이 접종할 수 있도록 9천9백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한 상태이다.
국내 도입 백신은 바이러스 벡터 백신 2종(아스트라제테카, 얀센), mRNA백신 2종(화이자, 모더나), 재조합 백신 1종(노바백스)에 대해서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1. 화이자 백신
접종 연령 | 만16세 이상 |
접종 횟수 및 간격 | 21일 간격으로 2회 접종 |
접종량 및 방법 | 희석된 백신 0.3㎖, 근육주사 |
보관 방법 | -90℃ ~ -60℃ (6개월) |
개봉 후 저장 | 희석 후 실온 (2℃ ~ 25℃) 6시간 |
2. 모더나 백신
접종 연령 | 만18세 이상 |
접종 횟수 및 간격 | 28일 간격으로 2회 접종 |
접종량 및 방법 | 0.5㎖, 근육주사 |
보관방법 | -25℃ ~ -15℃ (7개월) |
개봉 후 저장 | 실온 6시간 |
3.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 | 만18세 이상 |
접종 횟수 및 간격 | 8~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 |
접종량 및 방법 | 0.5㎖, 근육주사 |
보관방법 | 2℃ ~ 8℃ (6개월) |
개봉 후 저장 | 실온 (30℃ 이하) 6시간 |
4. 얀센 백신
접종 연령 | 만18세 이상 |
접종 횟수 및 간격 | 1회 접종 |
접종량 및 방법 | 0.5㎖, 근육주사 |
보관방법 | 2℃ ~ 8℃ (6개월) |
개봉 후 저장 | 실온 (30℃ 이하) 6시간 |
예방 접종 임상시험 결과
백신 종류 | 예방효과 | 임 상 시 험 | |
화이자 | 95% | 미국 등 다국가 | 코로나19 바이러스 음성 16세이상의 36,523명 대상 백신군 18,198명 ---- 대조군 18,325명 실시 백신군 8명 ---- 대조군 162명 발생 |
모더나 | 94.1% | 미국 | 백신군 14,134명 ---- 대조군 14,073명 실시 백신군 11명 ---- 대조군 185명 발생 |
아스트라제네카 | 62% | 영국, 브라질 | 코로나19 바이러스 음성 18세이상의 8,895명 대상 백신군 4,440명 ---- 대조군 4,455명 실시 백신군 27명 ---- 대조군 71명 발생 |
얀센 | 14일후 : 66.9% 28일후 : 66.1% |
미국 등 다국가 | 코로나19 바이러스 음성 18세이상의 39,321명 대상 백신군 19,630명 ---- 대조군 19,691명 실시 14일후 백신군 116명 ---- 대조군 348명 발생 28일후 백신군 66명 ---- 대조군 193명 발생 |
세계보건기구(WHO)와 우리나라는 백신의 유효성 판정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유효성 점추정치를 최소 50% 이상, 신뢰 한계의 하한 값을 30% 초과를 요구하기 때문에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모두 유효성 기준인 50%를 넘겼기 때문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행 차단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나라 예방 접종의 효과
우리나라에서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을 먼저 접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021년 2월 26일부터 4월 26일까지 백신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예방 접종 2주 후부터 평균 86.6% 이상의 감염예방 효과를 보였다.
'생활 속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염 바이러스의 종류 (0) | 2024.05.02 |
---|---|
생활속 과학 (10) / 공기청정기는 어떻게 공기를 깨끗하게할까? (0) | 2021.08.05 |
생활속 과학 (8) / 백신과 항체 (0) | 2021.06.25 |
생활속 과학 (7) / 부풀어 오르는 빵 (1) | 2021.06.22 |
생활속 과학 (6)/ 대기 오염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