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의 습격으로 우리에게 다가온 백신과 항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전염병이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오랜 세월 동안 우리 인류에는 많은 전염병이 함께 해왔으며 그때마다 새로운 삶의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약들이 개발이 되곤 했다.
20세기가 되면서 경험한 전염병들을 보면 1918년 '스페인 독감', 1957년 '아시아 독감', 1968년 '홍콩 독감'등이 힘들게 했으며, 21세기가 되어서는 몇 년마다 전 세계를 힘들게 하는 전염병들이 나타나고 있다. 2003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를 비롯해 2019년에 발생한 '코로나19'까지 많은 전염병이 자주 발생하여 지구 상에 살고 있는 인류에게 제앙이 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는 그 어떤때 보다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인류의 나아갈 방향과 경제의 흐름, 삶의 방식 등의 방향이 달라지고 있다. 재택근무에 익숙해지고, 학생들은 줌 수업에 익숙해지며 10년 20년이 걸려서 다가올 변화가 단 1~2년 만에 다가와 버렸다.
이것은 혁명이다.
이렇게 전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으로 지금까지 지내오던 일상을 잃어버렸으며 새로운 방식의 삶에 서서히 적응하고 익숙해지고 있다.
이제는 백신이 개발되고 모든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하여 체내에 코로나19 항체가 생성되어야만 안전해질 수 있다. 백신이란 어떤 것이며 항체는 무슨 역할을 하는 것인지 알아보자.
항원과 항체
항원
우리 몸에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물질이 들어오면 우리의 몸에서는 여러가지 면역 반응을 하게 되는데 그중에 하나가 바로 '항체'를 만드는 일이다. 항체는 특별한 구조로 되어있어 하나의 항원 즉 외부 물질을 망가뜨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같은 질병이 들어오면 막을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항체를 만들어 내는 원인물질을 '항원'이라고 한다.
항원에는 바이러스나 세균 뿐 아니라 항체를 만드는 모든 원인 물질을 뜻하기 때문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나 먼지 등도 이에 해당된다.
항체
우리의 몸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는 많은 면역세포가 있다. 면역세포는 직접 균을 제거하기도 하고 '항체'를 만들어서 질병을 예방하기도 한다. 항체는 백혈구의 한 종류인 림프구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항원을 만나게 되면 세포의 수용체에서 항원을 인식하고 수용체를 통해 결합하여 침입한 항원을 파괴하는 작용을 한다. 항체는 특정 항원에만 1:1로 대응하게 되며 우리가 맞는 예방주사도 이러한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즉, 항체는 병원체(항원)에 감염되었을 때 이에 대항하는 물질이다.
백신
현대인은 누구나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접종을 맞은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 인체의 면역체계는 기억력이 매우 뛰어나서 한번 싸운 바이러스는 기억하기 때문에 다음에 같은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빠른 속도로 항체를 많이 만들어서 싸우게 된다.
병에 걸리기 전에 약하게 만든 연습용 바이러스로 진짜 바이러스가 들어왔을 때 대응할 힘을 기르기 위해 우리 몸에 투입하는 약화시킨 바이러스나 균이 바로 백신이며 이렇게 백신을 몸에 투여하는 과정을 예방접종이라 한다.
백신은 약하게 질병을 앓게 함으로 그 병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해준다.
최초의 백신은 18세기 영국의 애드워드 제너가 그 당시 유행하던 질병인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해 우두(소 천연두)에 걸린 소의 고름을 천연두의 백신으로 사용해서 인간에 접종하는 '우두법'을 개발했다. 이 덕분에 천연두는 지구에서 사라진 유일한 바이러스성 질병이 되었으며 후에 프랑스 파스퇴르에 의해서 백신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코로나 백신
코로나19로 인한 잃어버린 일상을 찾기 위해 많은 이들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최후의 보루는 백신을 맞아서 모두가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나고 있어서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접종하고 있는 백신의 종류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이 있으며 얀센 백신만 1회 접종이고 다른 제품은 2회 접종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노바백스 합성 항원 백신도 도입될 예정이며 우리나라 백신은 전량 국가에서 구매하여 전 국민에게 무료로 접종을 해주고 있다.
빠른 시일 내에 백신 접종으로 인해 항체가 생기고 모든 시스템과 일상이 회복되기를 바란다.
'생활 속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속 과학 (10) / 공기청정기는 어떻게 공기를 깨끗하게할까? (0) | 2021.08.05 |
---|---|
생활속 과학 (9) / 코로나19 백신 종류 및 예방접종 (3) | 2021.07.17 |
생활속 과학 (7) / 부풀어 오르는 빵 (1) | 2021.06.22 |
생활속 과학 (6)/ 대기 오염 (0) | 2021.06.14 |
생활속 과학 (5)/ 수분 흡수 속에 숨은 과학 (0) | 2021.06.11 |
댓글